총 212건 중 212건 출력
, 6/22 페이지
-
51
-
문화융합의 기초로서의 인문고전 교육의 의미
-
서정일;
목원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38,
2016,
pp.39-65)
-
52
-
기술변혁과 노동소외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노동소외의 문제에 대한 인문학적 제언
-
오장근;
국립목포대학교;
(문화교류연구 = The journal of cultural exchange,
v.8,
2019,
pp.153-171)
-
53
-
가상사회에서 대학 인문학교육의 가치
-
최승현;
서범종;
충북대학교;
충북대학교;
(교육연구논총,
v.43,
2022,
pp.159-179)
-
54
-
인문학자의 사회적 실천 - 연구와 제도, 대중교육의 선순환을 위한 모색 -
-
이경란;
연세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11,
pp.207-240)
-
55
-
대만과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(고전) 교육 정책 연구
-
최지연;
이해윤;
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;
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64,
2023,
pp.35-64)
-
56
-
2000년대 이후 한국의 지역학 연구 동향 : 지식생산기제로서의 학술지 네트워크 분석과 LDA 분석을 중심으로
-
정현일;
현민;
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;
부경대학교;
(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,
v., 7,
2023,
pp.5-33)
-
57
-
인문학의 대중화를 위한 시민 인문강좌 방향성 고찰 - 부산외대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 성과를 중심으로
-
김민영;
김율경;
;
(용봉인문논총,
v.0,
2019,
pp.91-114)
-
58
-
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
-
서은숙;
;
(인문콘텐츠 = Humanities contens,
v.2009,
2009,
pp.157-184)
-
59
-
양적 분석 방법을 통한 한국 문학 연구의 확장 - 디지털 인문학의 동향 및 도전 과제
-
심지섭;
인하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5,
pp.361-395)
-
60
-
디지털 방법론과 문학 연구의 신형식주의-문학 실험실 (Literary Lab)을 중심으로-
-
류정민;
고려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49,
2018,
pp.77-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