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遼代 部族制度의 樣相과 그 性格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양사학연구,
v.0,
2015,
pp.307-332)
-
52
-
契丹의 渤海遺民에 대한 移住政策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양사학연구,
v.0,
2013,
pp.101-136)
-
53
-
遼代 女眞의 起源과 分類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6,
pp.235-262)
-
54
-
契丹의 社會構造와 二重支配體制의 確立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4,
pp.115-137)
-
55
-
渤海復興運動에 대한 再檢討 - 後渤海와 定安國에 대한 理解를 중심으로-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앙사론,
v.0,
2012,
pp.201-242)
-
56
-
遼代 四時捺鉢의 起源과 影響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2,
pp.287-310)
-
57
-
北宋의 錢荒 問題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25,
pp.81-110)
-
58
-
金代 渤海人의 存在樣態 및 政治的 位相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17,
pp.37-75)
-
59
-
北宋時期 入中制의 實施와 范祥의 鹽政改革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양사학연구,
v.0,
2019,
pp.77-102)
-
60
-
고려와 동・서여진의 관계
-
나영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7,
pp.215-24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