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28건 중 428건 출력
, 6/43 페이지
-
51
-
김혜순 시의 영미권 번역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
-
성현아;
중앙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109-148)
-
52
-
다성적 공간으로서의 몸?김혜순론?
-
나희덕;
조선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03,
pp.307-328)
-
53
-
한국에서 다문화주의 논의의 전개와 수용: 오경석 외,『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』(한울, 2007) 김혜순 외,『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』(동북아시대위원회, 2007)
-
김남국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80,
2008,
pp.343-361)
-
54
-
김혜순 시에 나타난 신체 지칭어의 성격
-
양은창;
단국대학교;
(어문연구,
v.56,
2008,
pp.503-523)
-
55
-
김혜순 시에 나타난 여성 억압의 근원과 대응 양상
-
박종덕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66,
2010,
pp.289-315)
-
56
-
김혜순 시의 시적 공간 - ‘서울’을 중심으로
-
박영우;
경기대학교;
(국어문학,
v.47,
2009,
pp.149-167)
-
57
-
김혜순 시의 어머니 표상 연구
-
김나영;
서울여자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1,
pp.95-129)
-
58
-
김혜순 시에 나타난 시간-이미지 연구
-
박한라;
고려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7,
pp.161-182)
-
59
-
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'몸'의 전략화 양상-김혜순의 시세계를 중심으로
-
송지현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5,
2002,
pp.371-393)
-
60
-
‘들린 여성성’의 정치생태학 ―1980년대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
-
김은석;
동국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2,
pp.77-1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