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0건 중 100건 출력
, 6/10 페이지
-
51
-
일본 우익과 재일코리안의 역사 ―제노사이드와 트라우마를 통해 보기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日本學(일본학),
v.36,
2013,
pp.5-36)
-
52
-
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과 구로공단-해방 이후 재일동포의 국내 경제활동과 관련하여-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4,
pp.137-164)
-
53
-
1928·29년 재일조선인 '뉴스'에 대한 시론적 검토―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과 재일본조선청년동맹의 경우를 중심으로 ―
-
김인덕;
경원대학교;
(사림,
v.0,
2007,
pp.79-100)
-
54
-
일제시대 재일한인 민족운동의 시론적 재구성
-
김인덕;
성균관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0,
pp.239-274)
-
55
-
해방 후 재일본조선인연맹의 민족교육과 정체성 - 『조선역사교재초안』과 『어린이 국사』를 통해 -
-
김인덕;
경원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12,
pp.165-189)
-
56
-
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운동에 대한 연구: 재일본조선인연맹 제4.5회 전체대회와 한신(阪神)교육투쟁을 중심으로
-
김인덕;
한신대학교;
(사림,
v.0,
2006,
pp.173-199)
-
57
-
1930년대 진보적 일본노동운동과 재일조선인 국제연대 ―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를 중심으로 ―
-
김인덕;
수원대학교;
(사림,
v.0,
2008,
pp.25-47)
-
58
-
재일본조선인연맹 ‘제5회 전체대회’에 대한 소고
-
김인덕;
성균관대학교;
(한일관계사연구,
v.0,
2006,
pp.359-394)
-
59
-
재일조선인 민족교육과 東京朝鮮中學校의 설립 -『도꾜조선중고급학교10년사』를 중심으로-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2,
pp.253-284)
-
60
-
재일본조선인연맹 '제3차 전체대회'에 대한 사실적 고찰 - '제3회 전국대회의사록'을 중심으로
-
김인덕;
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위원회;
(사림,
v.0,
2006,
pp.241-2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