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59건 중 359건 출력
, 6/36 페이지
-
51
-
김시습(金時習)과 허균(許筠)의 동질성(同質性) 및 시습(時習)에 대(對)한 균(筠)의 관심(關心)
-
정주동;
;
(국어국문학,
v.28,
1965,
pp.230-232)
-
52
-
김시습과 남효온, 추방된 비전과 굴원·초사 수용 - 조선전기 정신사의 한 조망대로서 -
-
김보경;
인제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6,
pp.171-210)
-
53
-
김시습 시의 ‘自然聲에 의한 破夢’ 모티브
-
김주수;
;
(한국한시연구,
v.0,
2008,
pp.195-225)
-
54
-
김시습의 관동 유력 1, 여정과 심경
-
이승수;
박청매;
한양대학교;
염성사범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23,
pp.135-163)
-
55
-
김시습의 「雜著」 연구
-
이대형;
동국대학교;
(불교학보,
v.0,
2012,
pp.213-235)
-
56
-
매월당 김시습의 양생수련과 시의 형상화
-
시아청윈;
선문대;
(문화와융합,
v.40,
2018,
pp.741-766)
-
57
-
김시습의 언해(諺解) 사업 참여와 절의 의 문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8,
2004,
pp.29-48)
-
58
-
매월당 김시습의 노년시
-
박혜숙;
인하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41,
2015,
pp.183-221)
-
59
-
매월당 김시습의 매화시 연구
-
정숙인;
중앙대학교;
(어문론집,
v.72,
2017,
pp.159-180)
-
60
-
16세기 관료 · 문인의 김시습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
-
엄기영;
대구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9,
pp.45-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