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61건 중 361건 출력
, 6/37 페이지
-
51
-
김달진 시에 나타난 불교 사상적 측면
-
양혜경;
신라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07,
pp.107-127)
-
52
-
경기전(慶基殿) 이야기꾼 김달봉 연구
-
김승필;
정광고등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03,
pp.5-27)
-
53
-
김달진 시에 나타난 구도(求道)과정 고찰
-
김윤정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3,
pp.301-325)
-
54
-
김달수의 전환기 작품 연구 - 『나에시로가와(苗代川)』와 역사의 탈문맥화-
-
임상민;
동의대학교 일본어학과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52,
2017,
pp.435-451)
-
55
-
Seeking 'Reconciliation of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' through Korean-Japanese intellectual Kim Dal-su'
-
Song , Whan-bhum;
;
(東아시아 古代學,
v.53,
2019,
pp.485-514)
-
56
-
김달수의 ‘방한’과 그의 ‘국토순례’ 기행문
-
박광현;
동국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6,
pp.9-36)
-
57
-
‘족보’와 ‘창씨개명’ -김달수의 「族譜」와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「族譜」를 중심으로-
-
박제홍;
김순전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09,
pp.141-164)
-
58
-
재일작가 김달수의 『행기의 시대(行基の時代)』와 고대 한반도 도래인의 형상화
-
Hakdong Kim,;
;
(日本硏究 = Japanese studies,
v.57,
2013,
pp.157-177)
-
59
-
북한송환사업과 한국 외교문서 ―김달수 「직함없는 남자」를 중심으로―
-
임상민;
동의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22,
pp.221-238)
-
60
-
홀로그래피 간섭법을 이용한 층상평행판의 내부결함 탐상
-
김달우;
한용규;
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계측연구원;
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계측연구원;
(한국광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,
v.9,
1998,
pp.326-3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