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23건 중 323건 출력
, 6/33 페이지
-
51
-
수수 지베렐린 함량의 일중변화에 미치는 일장효과
-
이인중;
김길웅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(韓國作物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,
v.42,
1997,
pp.556-563)
-
52
-
종자(種子)의 형태적특성(形態的特性)에 의한 피의 분류(分類)와 제초제(除草劑) 반응(反應)
-
김길웅;
김진협;
이인중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(한국잡초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,
v.9,
1989,
pp.141-148)
-
53
-
해바라기(Helianthus annuus L.) 근분비물질(根分泌物質)의 타감작용(他感作用) 및 타감물질(他感物質)의 동정(同定) II. 타감성(他感性) 해바라기 근분비물질(根分泌物質)의 동정(同定)
-
Park, K.H.;
Moody, K.;
Kim, S.C.;
Kim, K.U.;
작물시험장;
국제미작연구소;
영남작물시험장;
경북대학교;
(한국잡초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,
v.12,
1992,
pp.173-182)
-
54
-
다년생잡초(多年生雜草)로부터 Callus 유도(誘導)와 생장조절제(生長調節劑)의 영향(影響)
-
김병철;
김길웅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(한국잡초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,
v.6,
1986,
pp.25-32)
-
55
-
彌勒大院 石窟의 考察
-
김길웅;
동국대학교;
(문화재,
v.0,
1985,
pp.118-128)
-
56
-
베르톨트 브레히트의 <부코 비가>
-
김길웅;
서울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4,
pp.50-68)
-
57
-
두루미와 구름 - 브레히트의 시에 나타난 사랑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9,
pp.57-79)
-
58
-
브레히트의 시에 나타난 사물화된 사회에서의 사랑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21,
pp.25-45)
-
59
-
근대 독일 문학에 나타난 수치심 - 클라이스트와 카프카의 작품을 중심으로
-
김길웅;
성신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23,
pp.167-188)
-
60
-
여뀌.마디풀로부터 상호대립억제작용물질(相互對立抑制作用物質)의 분리(分離).동정(同定)
-
우선욱;
김길웅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;
(한국잡초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,
v.7,
1987,
pp.144-1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