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4건 중 214건 출력
, 6/22 페이지
-
51.
- 김광균 시 연구 : 도시 이미지에 나타난 근대성을 중심으로
- 정영미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0 p., 2008
-
52.
- 김광균 시의 기호학적 연구 : 시집 『瓦斯燈』을 중심으로
- 이영주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3p., 2001
-
53
-
김광균 시에 나타난 ‘애도’의 양상 연구
-
라기주;
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4,
pp.50-81)
-
54.
- 1930년대 김광균과 대망서(戴望舒) 시의 비교 연구 : 한·중 모더니즘을 중심으로-
- 방경
-
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10 p., 2025
-
55
-
김광균의 '형태의 사상성'과 이미지즘의 수사학
-
박현수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79,
2003,
pp.389-416)
-
56
-
1930년대 후반 시의 도시표상 연구 - 오장환, 김광균, 박팔양을 중심으로
-
고봉준;
이선이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09,
2009,
pp.109-138)
-
57
-
김광균 시에 나타난 '황혼'의 의미 탐색
-
박지학;
전북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16,
pp.120-142)
-
58.
-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장소성 연구 : 정지용, 김기림, 김광균을 중심으로
- 조명숙
-
아주대학교, 국내박사,
143 p., 2015
-
59
-
해방기 김광균과 오장환의 소월 연구에 나타나는 근대성 연구
-
이지영;
경희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72,
2020,
pp.7-46)
-
60
-
여로의 감각과 생활의 의미:김광균론
-
박민규;
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4,
pp.153-1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