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90건 중 690건 출력
, 6/69 페이지
-
51
-
심노숭 기행문학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의미
-
김광명;
성균관대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24,
pp.43-75)
-
52.
- 한국 해양극문학의 ‘바다’ 연구 : 함세덕「무의도 기행」, 천승세「만선」, 이강백「물고기 남자」를 중심으로
- 김성희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4 p., 2010
-
53
-
연행록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기행문학 교육 연구 -후대 연행록의 열하일기 수용 기록을 중심으로-
-
서미화;
최지지;
이지선;
한양대학교;
센트럴랑카셔대학교;
서원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22,
pp.95-141)
-
54
-
프랑스의 문학기행루트
-
손정훈;
아주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33,
2010,
pp.657-681)
-
55
-
The emblem of the Mt. Geumgang and Fuji as classical travel literature
-
Lee, Young Kyung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75,
2020,
pp.261-282)
-
56
-
선조들의 금강산 기행문학과 그 교육적 활용
-
김미선;
조선대학교 한문학과;
(전남대 어문논총,
v.0,
2019,
pp.127-152)
-
57
-
만주국 기행문학 연구
-
서경석;
한양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4,
pp.341-360)
-
58
-
기행문학과 관광스토리텔링-강화도 심도기행(沁都紀行)을 중심으로-
-
송영민;
강준수;
안양대학교;
안양대학교;
(관광학연구,
v.38,
2014,
pp.173-191)
-
59
-
A Study on the Literature of Korean and Japanese Buddhist Monks
-
Kang, Kyungha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69,
2019,
pp.5-24)
-
60
-
북한 문학자들의 소련기행과 전후 소련의 이식
-
배개화;
단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2,
pp.364-3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