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604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.
- 전두환 정부의 국풍81 : 권위주의 정부의 문화적 자원동원 과정
- 김지연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3 p., 2014
-
52
-
집단주의적 정책결정과 의정(議政)의 과격화가 권위주의 정치체제의 붕괴에 미치는 영향
-
신진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36,
2002,
pp.159-175, 426)
-
53
-
인도네시아 2021 민주주의 틀에 담긴 권위주의 유산
-
이지혁;
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;
(동남아시아연구,
v.32,
2022,
pp.155-200)
-
54
-
정당리더십과 권위주의 계승정당의 진화 - 대만의 국민당 사례
-
지은주;
;
(한국정치학회보 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44,
2010,
pp.213-236)
-
55
-
탈냉전 시기 권위주의 체제의 정당성 추구 전략 분석
-
구본상;
충북대학교;
(분쟁해결연구,
v.19,
2021,
pp.69-101)
-
56
-
한국 선거 권위주의의 정치동학
-
한병진;
;
(대한정치학회보,
v.17,
2010,
pp.265-284)
-
57.
- 박정희 유신체제와 헤게모니 권위주의 정당성 : 성역화사업을 중심으로
- 최광승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23 p., 2020
-
58.
- 한국경제발전을 보는 두가지 시각: 발전행정론과 관료적 권위주의
- 강정미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0장, 1992
-
59
-
닉슨 독트린과 동아시아 권위주의 체제의 등장 - 한국, 필리핀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비교 분석
-
裵肯燦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22,
1988,
pp.321-338)
-
60.
- 1990년대 북한의 정치체제 : 착취적 권위주의에서 자선적 권위주의로의 변화
- 왕효영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6 p., 20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