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[기조강연] 근대의 충격, 고전서사의 대응과 모색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24,
pp.9-48)
-
52
-
고전소설과 콘텐츠, 그 제작 양상과 개발의 전망-영화콘텐츠를 중심으로
-
권순긍;
옥종석;
세명대학교;
세명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8,
pp.5-46)
-
53
-
『게일 문서(Gale, James Scarth Papers)』 소재 ⟨심청전⟩, ⟨토생전⟩ 영역본의 발굴과 의의
-
권순긍;
한재표;
이상현;
세명대학교;
세명대학교;
부산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0,
pp.419-494)
-
54.
- 韓中《三國志演義》의 형성과정과 수용양상
- 장국정
-
세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63 p., 2013
-
55.
- 한 · 중 고전고설 <구운몽(九雲夢)과 홍루몽(紅樓夢)의 인물 비교 연구
- 왕하
-
세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3 p., 2014
-
56.
- 한중 <춘향전>과 <옥당춘락난봉부>의 여성 인물 비교 연구
- 장민
-
세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1 p., 2013
-
57.
- <단군신화>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방안 연구 : 중국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
- 상염
-
세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7

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