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낭만적 가족서사와 왜곡된 역사인식의 파토스 - 노라 크루크의 『고향. 어느 독일인 가족앨범』을 중심으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2,
2021,
pp.343-364)
-
52
-
디지털 시대 문자의 미래와 문학교육 – 빌렘 플루서의 ‘읽기’의 전환에 대한 소고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23,
pp.45-70)
-
53
-
기록기술의 발전과 기억: 라이프로그와 디지털적 기억의 양면성 - 테드 창의 「사실적 진실, 감정적 진실」을 중심으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4,
2022,
pp.621-633)
-
54
-
새로운 기술매체의 경험과 문자인간의 좌절* - E.T.A. 호프만의 「모래사나이」에 나타난 자동인형 모티브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5,
2024,
pp.55-76)
-
55
-
E. T. A. 호프만의 「모래사나이」와 발레 ⟨코펠리아⟩에서 기계적인 것의 수용 양상 비교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24,
pp.223-246)
-
56
-
디지털 시대의 문학교육과 매체융합적 수업모델 -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문학텍스트의 재매개와 ‘다시 쓰기’
-
구연정;
임석원;
숭실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21,
pp.417-438)
-
57
-
초등학교 저학년 쓰기 저성취 아동 진단을 위한 쓰기 능력 변인 탐색
-
김동일;
홍성두;
구연정;
서울대학교;
대전대학교;
서울사대부여중 교사;
(특수교육학연구,
v.43,
2008,
pp.109-126)
-
58
-
학령 초기 글쓰기 능력과 유창성과의 관계
-
구연정;
홍성두;
이기정;
손지영;
김동일;
서울사대부여자중학교;
광주여자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학습장애연구,
v.5,
2008,
pp.43-59)
-
59.
-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의 변화를 통한 루브릭 쓰기의 효과 분석 :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
- 김혜영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ii, 120 p., 2015

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