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21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개항 이후 해방까지 광주지역의 건축 ( Architecture of the Kwangju Area from 1876 to 1945 )
-
천득염;
신태양;
한승훈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12,
1996,
pp.53-66)
-
52
-
19세기 후반 러시아제국의 동아시아 대외정책과 조선의 개항
-
민경현;
;
(슬라브 학보,
v.18,
2003,
pp.527-540)
-
53
-
Development and Spread of ‘Bigeo’ Folklore during the Opening Port and Colonial Period
-
Kim, Kidoong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65,
2022,
pp.175-208)
-
54.
- 개항장의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: 부산, 인천, 목포, 군산, 마산 개항장을 중심으로
- 정소연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9 p., 2008
-
55
-
開港直前의 韓日關係(1868~1874)
-
裵成東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6,
1972,
pp.5-30)
-
56
-
廣東省江門の開港
-
;
;
(Journal of Geography (Chigaku Zasshi),
v.16,
1904,
pp.341a-341a)
-
57
-
兼二浦開港準備
-
;
;
(Journal of Geography (Chigaku Zasshi),
v.17,
1905,
pp.284a-284a)
-
58
-
Illegal Red Ginseng Trade by Chinese Merchants after Opening Port(1883~1894)
-
Park, Eun-Sook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9,
2022,
pp.211-249)
-
59.
- 개항이후 남자 모자에 관한 연구
- 김이든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x, 78 p., 2007
-
60
-
개항도시의 근대문화 유입과 형성- 부산과 상하이의 영화를 중심으로
-
곽수경;
국립부경대학교인문사회과학연구소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20,
2019,
pp.93-1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