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: 1920~30년대를 중심으로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1,
pp.47-92)
-
52
-
괴물은 무엇을 표상하는가 -한국 고전서사문학 속의 괴물-
-
강상순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6,
pp.43-73)
-
53
-
「구운몽」에 형상화된 남녀관계의 소설사적 계보와 역사적 성격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08,
pp.185-228)
-
54
-
고소설 해석의 방법과 윤리에 대하여- 몇 가지 단상과 제언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4,
pp.5-36)
-
55
-
필기와 전기의 거리
-
강상순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고전과 해석,
v.22,
2017,
pp.25-49)
-
56
-
YAP/TAZ Shuttle Protein Interaction with Tip60 in HIPPO Signaling: YAP/TAZ direction for Tip60 acetylation site on chromosome
-
강상순;
충북대학교;
(한국교육논총,
v.46,
2025,
pp.307-325)
-
57
-
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- 17세기 소설사를 중심으로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7,
pp.179-206)
-
58
-
고전소설 연구와 정신분석학의 접합, 그 가능성과 지점 및 한계들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9,
pp.320-359)
-
59
-
무고의 효용과 무고에 대한 시선
-
강상순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고소설연구,
v.0,
2017,
pp.65-96)
-
60
-
조선후기 소설에서 正義에 관한 서술의 몇 방향-공정성의 감각을 중심으로-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8,
pp.61-8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