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형성기 대중가요의 전개와 아리랑의 존재양상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04,
pp.5-36)
-
52
-
아리랑의 국면 전개에 관한 거시적 조망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13,
pp.7-32)
-
53
-
⟨돈돌라리⟩의 형성맥락과 노래의 실상 읽기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23,
pp.5-30)
-
54
-
민요 데이터의 정보처리 구도와 자료분류 표준화 방안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14,
2004,
pp.11-48)
-
55
-
⟨돈돌라리⟩의 형성맥락과 노래의 실상 읽기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23,
pp.5-30)
-
56
-
2000년 이후 민속연구의 양상과 향후 민속연구의 보완 과제 모색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71,
2020,
pp.47-75)
-
57
-
분단 전후 아리랑의 전개 국면과 민족공동체 복원을 위한 아리랑의 활로 모색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54,
2018,
pp.73-112)
-
58
-
민요 현장의 국면 읽기와생태학적 문제의식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64,
2022,
pp.7-39)
-
59
-
한,중 논농사요의 기초적 문제 비교연구(1):존재양상과 문학적 상황-중국 호북성(湖北省)과 안휘성(安徽省)을 중심으로-
-
강등학;
김영운;
김예풍;
강릉원주대학교;
한양대학교;
중국 서남민족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15,
2004,
pp.21-68)
-
60
-
한,중 논농사요의 기초적 문제 비교 연구(2):음악적 상황
-
강등학;
김영운;
김예풍;
강릉원주대학교;
한양대학교;
중국 서남민족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15,
2004,
pp.69-107)

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