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“오늘은 봐 줬지만, 내일은 안 봐 줄 거야”: 만 3∼4세 어린이의 ‘형’과 ‘동생’의 지위역할의 사회화
-
강나영;
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;
(한국문화인류학,
v.48,
2015,
pp.163-212)
-
52
-
전후(戰後) 한국영화에 재현된 일을 통해 변화하는 여성의 정체성 – 영화 ⟨자매의 화원⟩을 중심으로
-
강나영;
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;
(인문연구,
v.0,
2018,
pp.241-280)
-
53
-
영화 ⟨자유부인⟩의 여성 노동 재현 양상 분석 – 서사와 형식 사이의 모순적 긴장관계를 중심으로 -
-
강나영;
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;
(한국학연구,
v.0,
2018,
pp.87-123)
-
54
-
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시청률 변화 추이의 관련성 분석 -⟨낭만닥터 김사부⟩를 중심으로-
-
강나영;
명지대학교;
(영상기술연구,
v.1,
2017,
pp.129-150)
-
55
-
전후 한국영화의 여성 가사노동 재현과 시대적 의미에 대한 연구
-
강나영;
명지대학교;
(현대영화연구,
v.18,
2022,
pp.19-42)
-
56
-
하녀의 본질적 욕망, ‘돈’의 등가물로서 ‘담배’의 의미: 김기영의 ⟨하녀⟩에 재현된 식모와 가사노동을 중심으로
-
강나영;
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;
(현대영화연구,
v.16,
2020,
pp.7-29)
-
57
-
1950년대 한국영화의 전문직 여성 재현 연구
-
강나영;
아주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3,
pp.5-27)
-
58
-
영화 개론 수업에서의 효율적인 텍스트 활용 방안 연구-영화 ⟨모나리자 스마일⟩을 중심으로-
-
강나영;
홍진혁;
명지대학교;
상명대학교 영화영상학과;
(영상문화콘텐츠연구,
v.0,
2020,
pp.345-375)
-
59
-
미국영화 속 북한 표상의 흐름 연구: 한국전쟁을 다룬 할리우드 영화를 중심으로 (1945~1972)
-
강나영;
함충범;
아주대학교;
한국영상대학교;
(공존의 인간학,
v.0,
2024,
pp.157-195)
-
60
-
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위한 VIA 기반 PC 클러스터 시스템
-
강나영;
정상화;
장한국;
삼성전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정보과학회논문지 : 시스템 및 이론,
v., 29,
2002,
pp.539-5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