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조선후기 문화변동과 蘇軾의 이해 - 서화를 중심으로 -
-
김현권;
문화재청;
(동국사학,
v.0,
2018,
pp.379-418)
-
52
-
<철령가>에 대한 반향의 두 시각
-
최재남;
;
(국문학연구,
v.0,
2014,
pp.61-89)
-
53
-
「文章指南跋」의 작자와 주제의식
-
강동석;
고려대학교 한문학과;
(어문연구,
v.90,
2016,
pp.45-64)
-
54
-
蘇軾文學初期受容樣相考
-
정선모;
성균관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8,
pp.273-325)
-
55.
- 조선시대 止酒詩 수용과 창작 양상
- 왕예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석사,
iv, 122 p., 2024
-
56.
- 이齊 歌辭 硏究 : 松江歌辭와 比較를 중심으로
- 정태형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57p., 1993
-
57
-
《歸田録》、《東坡志林》 二種筆記中日常書寫之風貌與意義
-
劉 師健;
;
(人文中國學報,
v.,
2021,
pp.265-279)
-
58
-
고려후기 한시에 나타난 새의 이미지와 문학적 의미
-
하정승;
한림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4,
pp.7-54)
-
59
-
唐 宋詩가 高麗朝 漢詩에 미친 영향
-
변종현;
경남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27,
2004,
pp.33-70)
-
60
-
「人間如夢,一尊還酹江月」 - ……東坡黃州詞中的夢
-
김선;
;
(中國文化硏究 =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e research,
v.4,
2004,
pp.213-2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