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6건 중 176건 출력
, 6/18 페이지
-
51.
- 出生行動に與える育兒環境の效果に關する實驗分析
- 김진범
-
筑波大學 大學院, 국외박사,
vii, 82 p., 2001
-
52
-
現代の文学作品に見られる終助詞の使用実態 -江戸、明治の文学作品との通時的考察において-
-
平木孝典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68,
2009,
pp.289-315)
-
53
-
조선총독부 발간 『여자고등보통학교수신서』의 여성상
-
김순전;
장미경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21,
2007,
pp.155-175)
-
54.
- 일본근대문학에 미친 한국고전소설의 영향 : 『구운몽』과 도스이(桃水)·이치요(一葉)
- 정은혜
-
목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0p., 2006
-
55.
- 다자이 오사무(太宰治)의 중기작품에 나타난 허무의식 고찰 : 「여학생(女生徒)」을 중심으로
- 김가희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70 p., 2007
-
56.
- 모리 오오가이(森鷗外)의 「산쇼오다유(山椒大夫)」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: 『섹쿄오부시(説経節)』「산쇼오다유(山椒太夫)」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 이유석
-
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69 p., 2008
-
57.
- 미야자키하야오(宮崎駿) 애니메이션의 주제의식 고찰
- 박혜란
-
경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81 p., 2010
-
58.
- 한일 여성교훈서 비교 연구 : 『계녀서』와 『和俗童子訓』의 여성관을 중심으로
- Otsuki, Shinobu
-
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94 p, 2014
-
59
-
幼児の終助詞の使用実態 - 3歳児を中心に -
-
히라키 다카노리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69,
2009,
pp.487-502)
-
60
-
사타 이네코(佐多稲子)와 조선 -「금강산에서(金剛山にて)」를 중심으로-
-
박애숙;
오병우;
大邱藝術大學校;
대구예술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1,
pp.175-1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