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12건 중 712건 출력
, 56/72 페이지
-
551
-
영화 「흑인 오르페 Orfeu Negro」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 해석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프랑스 문화 연구,
v.2,
2006,
pp.65-92)
-
552
-
21세기 서양미학의 동향과 전망을 위한 시론 1―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, 그리고 그 이후를 위하여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민족미학,
v.12,
2013,
pp.205-233)
-
553
-
チタン陽極酸化法による色彩付加の可能性の研究
-
김종기;
고베예술공과대학;
(브랜드디자인학연구,
v.8,
2010,
pp.247-256)
-
554
-
플로티노스 미학을 통한 『악의 꽃』 미시독서 시론(試論)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코기토,
v.71,
2012,
pp.79-104)
-
555
-
브레히트 서사극의 이성주의와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도취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3,
pp.157-185)
-
556
-
하이데거의 예술론을 통한 고야 ⟨사투르누스⟩ 해석의 가능성에 대하여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현대유럽철학연구,
v.0,
2010,
pp.99-130)
-
557
-
‘악의 꽃’의 시 세계와 자연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한국프랑스학논집,
v.52,
2005,
pp.199-220)
-
558
-
Adornos Theorie der Kulturindustrie, wiedergelesen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대동철학,
v.0,
2009,
pp.213-229)
-
559
-
아도르노 비동일자의 니체적 토대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시대와 철학,
v.23,
2012,
pp.77-108)
-
560
-
로티노스 미학을 통한 『악의 꽃』 미시독서(6): 추억
-
김종기;
부산대학교;
(프랑스어문교육,
v.0,
2016,
pp.325-35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