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30건 중 530건 출력
, 53/53 페이지
-
521.
- 김영랑과 쉬즈모 시 형상화 방식 비교 연구
- 감건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29 p., 2018
-
522
-
한국에서의 독문학연구와 한국문학
-
안삼환;
서울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20,
pp.33-51)
-
523.
- 정지용 시 연구 : 발표 매체를 중심으로
- 안웅선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9 p., 2010
-
524.
- 정지용 시에 나타난 죽음 초월 양상 연구
- 김영미
-
대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12 p., 2010
-
525
-
정지용과 김영랑의 시청각 심상에 관한 쟁점
-
송희복;
진주교육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1,
pp.355-392)
-
526.
- 한국 근대시의 '서정 : 기원과 변용
- 김종훈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05 p., 2008
-
527
-
정지용 시의 육체성 연구 - ‘나비’와 ‘말’ 이미지를 중심으로
-
이슬아;
고려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21,
pp.259-290)
-
528.
- 解放期 詩論 硏究
- 박민규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, 287 p., 2013
-
529
-
문학사로서의 시, 영향 소멸에 대한 불안을 전유하는 시 쓰기 ― 전영경 시집 『선사시대』 읽기
-
윤종환;
연세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4,
pp.177-222)
-
530.
- 일제강점기 저항시의 낭만주의적 경향 연구 : 이육사, 윤동주를 중심으로
- 박성준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87p.p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