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40건 중 540건 출력
, 50/54 페이지
-
491.
- 1930년대 소설 한국의 『태평천하』와 베트남의 『쏘 도(Số đỏ)』비교 연구 : 풍자성을 중심으로
- 최영란
-
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194 p., 2016
-
492
-
‘빨갱이’와 이데올로기적 환상
-
박찬모;
순천대학교;
(감성연구,
v.0,
2016,
pp.61-96)
-
493.
- 군산시 도시경관 및 공원녹지평가에 관한 연구 -시민의식 조사를 중심으로-
- 문명수
-
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, 국내석사,
xii, 76 p., 2013
-
494.
- 1930년대 한국소설에 있어서의 여성 자아 정립 양상 연구
- 송지현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46, 3, 11 p, 1991
-
495.
- 축제의식을 활용한 서사의 풍자성 교육
- 박일명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x, 152 p., 2011
-
496
-
속물들의 향연, 해방기 소설의 문화소비 - 손소희「투전」을 중심으로
-
박용재;
;
(한국어문학연구 =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60,
2013,
pp.183-211)
-
497
-
신문소설 삽화를 통한 감상자의 심리적 거리 형성 연구 -『인형의 집을 나와서』(1933)를 중심으로
-
최민지;
서울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23,
pp.207-245)
-
498.
- 해방기 자기비판소설의 교육적 효용성 연구
- 황윤미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110 p., 2007
-
499.
- 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현대소설의 아버지 양상 연구
- 김학찬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76 p., 2020
-
500.
- 지역 정체성을 담은 공공디자인 방향 연구 : storytelling 기법을 중심으로 군산내항 연구
- 한상민
-
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9 p., 20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