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]
-
41
-
들뢰즈 관점에서 디킨즈의 『어려운 시절』읽기
-
박종성;
충남대학교;
(근대영미소설,
v.25,
2018,
pp.47-70)
-
42
-
⟨만복사저포기⟩와 ⟨하생기우전⟩에 나타난 관습적 서사의 구축 양상과 의미
-
김현화;
충남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20,
pp.47-71)
-
43
-
1910년대 문학론의 미적인 삶의 전략과 상징
-
채상우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02,
2002,
pp.233-256)
-
44.
- 모뉴멘트(Monument)이미지에 있어서 숭고미에 관한 연구 : 본인의 연구 작품을 중심으로
- 김미화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61장, 2021
-
45
-
정토진종의 전시교학과 군국주의
-
원영상;
원광대학교;
(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,
v.0,
2018,
pp.147-180)
-
46
-
콤플렉스 에너지의 변화 과정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
-
김병훈;
호서대학교;
(신학논단,
v.81,
2015,
pp.11-43)
-
47
-
국문장편 속 ‘피’의 표상과 서사적 의미 - 주동인물의 경우를 중심으로
-
이지하;
성균관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9,
pp.39-70)
-
48.
-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
- 진선영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59 p, 2011
-
49.
- 윤대녕 소설의 여성 인물 연구 :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
- 최서연
-
강남대학교, 국내석사,
46장, 2019
-
50.
- 바이세의 미학체계에서 추 개념의 번역 및 해석
- 이유미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9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