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46건 중 346건 출력
, 5/35 페이지
-
41
-
‘유랑지구’의 이율배반: ‘허망’과 ‘희망’ — SF영화 《유랑지구》와 원작 소설 비교를 중심으로
-
김정수;
숭실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19,
pp.201-222)
-
42
-
Korean Child and Youth Science Fiction Literatures, and Scientific Imagination
-
Kwon, HyugJun;
;
(아동청소년문학연구,
v.21,
2017,
pp.7-39)
-
43
-
김초엽 SF 소설에 나타난 ‘공존’의 불교적 이해
-
김서연;
연변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24,
pp.97-128)
-
44
-
AI 생성 SF와 포스트휴머니즘 : ChatGPT는 어떤 소설을 생성하는가?
-
방은아;
임소연;
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;
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32,
2024,
pp.195-225)
-
45
-
여성 SF 소설의 테크노피아와 소수자 문학
-
김윤정;
이화여자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1,
pp.7-46)
-
46
-
AI 생성 SF와 포스트휴머니즘 : ChatGPT는 어떤 소설을 생성하는가?
-
방은아;
임소연;
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;
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32,
2024,
pp.195-225)
-
47
-
한국 현대 SF의 과학자 재현양상 - 김초엽, 심너울, 정보라 소설을 중심으로
-
홍덕구;
포항공과대학교 소통과공론연구소;
(대중서사연구,
v.29,
2023,
pp.69-103)
-
48
-
명치 소설에서 현대 애니메이션과 만화까지 - 공상과학(SF)물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-
-
표세만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5,
2005,
pp.283-303)
-
49
-
현대 과학기술과 하이브리드 상상력 – 클라우스 프뤼아우프의 SF소설 『게니온』에 나타난 신인간의 정체성 문제
-
천현순;
경상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1,
2020,
pp.47-71)
-
50
-
The Heterotopia and Posthumanism of SF Novels - Focusing on Kim Yeongha’s Farewell
-
Cho, Sohee;
;
(한국문예창작,
v.22,
2023,
pp.95-1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