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Civilization Western --Textbooks.]
총 107건 중 107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
-
근대적 일상과 풍속의 징조: 한국 개화기 인쇄미술과 신문물 이미지
-
홍선표;
이화여자대학교;
(美術史論壇,
v.0,
2005,
pp.253-279)
-
42
-
한국 통사로 보는 ‘실학’의 지식사 시론
-
노관범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9,
pp.209-253)
-
43.
- ‘지역세계사’로서의 고등학교 『동아시아사』 교과서 분석 : ‘서구 문물의 수용과 사회변화’ 단원을 중심으로
- 홍보람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78 p., 2014
-
44.
-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십자군 서술 분석 : 이슬람의 시각을 반영할 수 있는 교재 재구성과 관련하여
- 강동호
-
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1 p., 2009
-
45
-
The Concept of “Asia” in the Context of Modern China
-
HUANG, Donglan;
;
(Cultura,
v.16,
2019,
pp.11-30)
-
46
-
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러시아 및 소련 역사 재현
-
노경덕;
이화여자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17,
pp.135-157)
-
47
-
공간의 인식과 식민 담론 - 이인직 신소설을 중심으로
-
최성민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6,
2005,
pp.185-215)
-
48
-
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삽화의 방향모색 -그리스 시대를 중심으로-
-
김봉수;
총신대학교;
(역사와교육,
v., 0,
2019,
pp.369-398)
-
49
-
근대 이후 간행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과정과 문법 내용 연구
-
주현희;
채영희;
부경대학교;
부경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6,
pp.77-118)
-
50
-
臺灣 歷史 敎科書의 韓國 認識 - 開港期 부분을 중심으로
-
장희흥;
대구대학교;
(대구사학,
v.111,
2013,
pp.219-2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