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경남 하동군 발견 철제무구류의 금속조직 조사 및 성분분석
-
유재은;
고형순;
황진주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;
(保存科學硏究 = Conservation studies,
v.21,
2000,
pp.177-206)
-
42.
-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에 나타난 언어적 전략과 비언어적 전략 연구
- 황진주
-
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69 p., 2015
-
43
-
태안 마도해역 출수 청동숟가락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
-
한우림;
김소진;
황진주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9,
2016,
pp.4-11)
-
44
-
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제작기술 - 충주 호암동유적과 부여 청송리유적 출토 청동기의 비교 연구-
-
한우림;
황진주;
김소진;
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1,
2018,
pp.224-233)
-
45.
- 방어 마케팅 전략의 수학적 해석
- 황진주
-
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v, 71 p., 2009
-
46
-
도.토기의 과학적 분석 연구-충청 남.북도, 강원도 토기 도요지 중심으로
-
홍종욱;
한민수;
황진주;
강대일;
한국전통문화학교;
한국전통문화학교;
한국전통문화학교;
한국전통문화학교;
(保存科學硏究 = Conservation studies,
v.24,
2003,
pp.99-130)
-
47
-
한반도 납광산의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청동 원료의 산지추정 - 청해진 출토 청동기를 중심으로 -
-
황진주;
김소진;
한우림;
한민수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(韓國鑛物學會誌 =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,
v.27,
2014,
pp.263-270)
-
48
-
영산강유역 대형옹관의 태토 특성에 의한 분류
-
이한형;
홍종욱;
황진주;
박지희;
문은정;
김수경;
정용삼;
문종화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기초과학연구본부 중성자과학연구부;
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기초과학연구본부 중성자과학연구부;
(保存科學硏究 = Conservation studies,
v.30,
2009,
pp.103-124)
-
49
-
봉정사 극락전 벽화 안료의 재질 분석 연구(II)
-
조남철;
홍종욱;
문환석;
황진주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;
(保存科學硏究 = Conservation studies,
v.21,
2000,
pp.119-143)
-
50
-
국내·외 고대 구리 제련기술 및 유적에 대한 문헌적 고찰
-
김소진;
이은우;
황진주;
한우림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8,
2015,
pp.126-1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