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『혜빈궁일기』와 궁궐 여성 처소의 일상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17,
pp.91-112)
-
42
-
조선과 청대 궁궐 건축에 보이는 박쥐문의 유입과 그 영향 -19세기 중반 樂善齋와 恭王府를 중심으로-
-
장경희;
한서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2,
pp.155-189)
-
43.
- 궁중 학무의 역사적 전개 양상 고찰
- 이은별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석사,
ix, 137 p., 2025
-
44.
- 사극영화, 서사성, 주요 쟁점 및 사회 문화적 의미 : 영화 <사도>에 대한 기호학 및 담론 분석
- 장정우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66, 2017
-
45
-
한글본 「뎡니의궤」의 서지적 분석
-
옥영정;
;
(書誌學硏究=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,
v.39,
2008,
pp.139-168)
-
46.
- Margaret Drabble's 'Universal narrative' : narrative as palimpsest in the Red Queen
- 강신애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90 p., 2008
-
47
-
역사문화공간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 기획 사례 연구 - 고궁, 고성, 성곽을 중심으로
-
송희영;
;
(글로벌문화콘텐츠 = Academic association of global cultural contents,
v.3,
2009,
pp.197-236)
-
48.
- 미디어 융·복합 시대에 따른 공연예술 영상화 방향 연구 : Sight & Sound Theatres 의 작품 제작방식 및 콘텐츠 유통방식을 중심으로
- 강예은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98, 2021
-
49.
- 朝鮮後期 露衣에 관한 硏究 : 淸衍郡主 出土服을 中心으로
- 이성희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77p., 2003
-
50
-
정조대왕의 효행과 콘텐츠로의 재현
-
유형동;
한신대학교;
(전남대 어문논총,
v.0,
2023,
pp.79-1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