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0건 중 120건 출력
, 5/12 페이지
-
41
-
사도세자(思悼世子)의 비극(悲劇)과 그 정신분석학적(精神分析學的) 고찰(考察) -'한중록' 연구(硏究)-
-
김용숙;
;
(국어국문학,
v.19,
1958,
pp.3-52)
-
42
-
A Study on the Contemporary Acceptance of the Hanjungnok
-
Park, Eun-mi;
;
(溫知論叢,
v.55,
2018,
pp.211-237)
-
43
-
가게로 일기(日記)와 한중록 비교 연구..
-
허영은;
대구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17,
2005,
pp.163-186)
-
44
-
⟨한중록⟩ 임오화변편의 서술양상과 의미
-
이승복;
상명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4,
2015,
pp.59-94)
-
45
-
『한중록』과 『가게로닛키(蜻蛉日記)』의 패러디
-
박윤호;
순천대학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21,
pp.421-457)
-
46
-
혜경궁의 처지와 『한중록』의 다면적 사실성
-
최성환;
재 수원시정연구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15,
pp.153-178)
-
47
-
동양과 서양 사이: 『한중록』, 『붉은 왕세자빈』, 초문화적 문화소통의 한계
-
박인찬;
숙명여자대학교;
(새한영어영문학,
v.54,
2012,
pp.39-64)
-
48
-
한중록의 전승과 현대적 변용의 특질
-
박은미;
동덕여자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18,
pp.211-237)
-
49
-
⟨한중록⟩에 나타난 궁궐 공간 인식과 장소감
-
김선현;
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43-75)
-
50.
- 보웬이론에 의한 사도세자의 가계분석 : 한중록에 나타난 사도세자의 병리적 증상의 원인을 중심으로
- 남은숙
-
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, 국내석사,
83 p., 20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