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61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조선후기 책판의 간행공간에 관한 연구 -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-
-
손계영;
경북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1,
pp.359-388)
-
42
-
가사 ⟨오륜가라⟩의 창작 목적과 의미 —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『오륜가라』 소재 가사 ⟨오륜가라⟩를 대상으로
-
정기선;
충남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25,
pp.91-126)
-
43
-
Planning of the research project team at The Korean Studies Institute, 󰡔Modang Ilgi - Formation and Lifestyle of Sarim in Daegu Area after the Imjin War󰡕(eunhaengnamu, 2021. 11)
-
Park, Na Yeon;
;
(大丘史學,
v.147,
2022,
pp.389-402)
-
44
-
고문서 메타데이터 표준화 현황과 과제 - 역사정보통합시스템과 한국국학진흥원의 고문서 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-
-
김남일;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센터;
(古文書硏究,
v.34,
2009,
pp.107-147)
-
45
-
문화재 기탁 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-한국국학진흥원의 사례를 중심으로-
-
김지민;
한국전통문대학교;
(박물관학보,
v.0,
2014,
pp.19-43)
-
46
-
한국국학진흥원 목판 아카이브 구축 및 서비스 방향에 대한 연구 ― 메타데이터의 검토 및 재구성 방안을 중심으로
-
최희수;
상명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13,
pp.71-100)
-
47
-
한국국학진흥원 소장 族譜, 童蒙書, 地誌, 日記類 등 책판의 성격과 가치
-
옥영정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0,
pp.45-95)
-
48
-
경기지역 종가제례음식 연구
-
김덕묵;
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0,
pp.399-434)
-
49
-
재령 이씨載寧李氏 가장유묵家藏遺墨 고찰
-
김홍구;
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0,
pp.245-275)
-
50
-
서평:한국국학진흥원 연구사업팀 기획, 『모당일기-임진왜란 이후 대구 지역 사림의 형성과 삶의 모습』(은행나무, 2021)
-
박나연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대구사학,
v.147,
2022,
pp.389-4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