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327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일본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지평과 역사
-
야마다 교꼬;
긴키대학교(近畿大學校);
(한국학연구,
v.0,
2024,
pp.313-345)
-
42
-
「구운몽」의 사상적 배경 연구 - 한국고전문학 배경론의 일환으로서 -
-
박성의;
;
(亞細亞 硏究,
v.12,
1969,
pp.1-87)
-
43
-
고전의 소통과 교양의 형성 - 한국고전문학을 중심으로 -
-
송효섭;
서강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5,
pp.5-28)
-
44.
- 국제 바칼로레아(IB) 학위과정의 한국 고전문학 교육 연구
- 김다정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14 p., 2020
-
45
-
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고전문학 교육의 방향 - 한국, 중국, 미국의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-
-
오윤선,;
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44,
2019,
pp.153-187)
-
46.
- 중국 내 한국어학과 문학 교육과정의 설계와 재구성 연구 : 길림성 소재 대학의 고전문학교육을 중심으로
- 정반반
-
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83p, 2021
-
47
-
한국의 일본고전문학 번역현황에 대한 기초적 조사연구
-
Lee Si-Jun,;
;
(日本硏究 = Japanese studies,
v.73,
2017,
pp.87-110)
-
48
-
한국 고전해양문학의 정위(正位)와 기대지평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2,
pp.11-43)
-
49.
- 中國 大學 韓國語學科 韓國 古典文學 敎育方案 硏究 : 時調文學 敎育을 中心으로
- 임삼정
-
中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77장, 2017
-
50
-
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활용과 21세기의 한국 고전문학 연구
-
유해춘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68,
1999,
pp.155-1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