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6건 중 106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
-
‘북한현실’의 문학적 형상화의 의미 — 『고발』과 『잔혹한 선물』을 중심으로
-
박덕규;
단국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17,
2018,
pp.63-86)
-
42.
- 문학 교과서 수록 다문화 소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: 2012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
- 엄부연
-
고려대학교, 국내석사,
ii, 75 p., 2018
-
43
-
구술담과 문학치료 활동을 통해 본 탈북민 P씨의 남한 적응 요인과 그 의미
-
김정애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65,
2016,
pp.171-209)
-
44
-
탈북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양상 연구 ― 이응준의 『국가의 사생활』과 강희진의 『유령』을 중심으로
-
고인환;
경희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12,
pp.141-169)
-
45
-
차이의 지정학과 사랑의 정동 - 탈북을 소재로 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
-
김화선;
배재대학교;
(어문연구,
v.103,
2020,
pp.155-176)
-
46
-
경계에서 이야기하기 -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‘다른’ 고백의 정치
-
김경연;
황국명;
부산대학교;
인제대학교;
(코기토,
v.97,
2022,
pp.89-128)
-
47.
- 탈북 소재 동화 연구
- 이정연
-
대구교육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02 p., 2018
-
48
-
탈북작가의 ‘몸’ 형상화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 - 김유경의 소설을 중심으로
-
백지윤;
경희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54,
2017,
pp.125-147)
-
49
-
가족관계 단절 문제에 대한 부모되찾기 설화의 문학치료적 역할
-
박재인;
건국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24,
pp.189-219)
-
50.
- 2000대 동화에 나타난 탈북아동 캐릭터 연구
- 김미애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56 p.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