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.
- 충남·전북지역 볏짚 상징물의 무형유산적 가치
- 이은희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72, 2022
-
42.
- 조선후기 번와소(燔瓦所)의 기와 생산체계와 제작기술
- 김하진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86, 2019
-
43.
- 조선후기 나전칠기의 기술문화적 특질
- 강연경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5, 2019
-
44.
- 한국 다회(多繪)의 전통과 기술의 변모
- 설지희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52 p., 2018
-
45.
- 『가례도감의궤(嘉禮都監儀軌)』를 통해 본 조선후기 궐내 소목장의 제작활동 연구
- 진유리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2, 2019
-
46.
- 조선시대 왕실의 은공예품 수요와 은장(銀匠) 연구
- 조윤정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1, 2020
-
47.
- 조선 및 근대 공예의 제작기준, 견양(見樣)
- 이수나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48, 2022
-
48.
- Slow Craft: 생태학적 공예의 대안
- 조준연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10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