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084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한국 道觀의 철학사상사적 연구(Ⅱ) : 중세편
-
김성환;
군산대학교;
(도교문화연구,
v.19,
2003,
pp.29-72)
-
42
-
우리의 언어 철학사와 언어 철학의 과제
-
고영근;
서울대학교;
(텍스트언어학,
v.46,
2019,
pp.1-22)
-
43
-
[특집 : 韓國哲學의 새로운 底流들] 제2부 동서철학사에 있어서의 비판사상 : 中國哲學史에 나타난 批判思想
-
김충렬;
;
(현상과 인식 =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,
v.1,
1977,
pp.56-66)
-
44
-
A reflection and proposal on the narrative of Modern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
-
Song, Injae;
;
(中國學硏究 = The Journal of Chinese studies,
v.81,
2017,
pp.301-324)
-
45
-
한국 道觀의 철학사상사적 연구(Ⅱ) : 중세편 - 官方道觀의 성립과 철폐
-
김성환;
;
(道敎文化硏究 = 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,
v.19,
2003,
pp.29-72)
-
46
-
한국철학사로서의 조선시대 유학사 및 성리학사 서술방법의 탐색기존 통사적 저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
-
최영성;
한국전통문화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5,
pp.41-82)
-
47
-
농산(農山) 신득구(申得求)의 성리설과 한국철학사에서의 의미
-
최영성;
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재관리학과 교수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20,
pp.69-92)
-
48
-
비극의 역사의식과 우리철학의 비젼 - 서양철학사를 어떻게 볼 것이인가?
-
박동환;
심재룡;
;
(哲學,
v.29,
1988,
pp.39-59)
-
49
-
[이 책을 말한다]풍우란의 『중국철학사』/ 중국철학회의 『역사 속의 중국철학』
-
김진근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3,
2000,
pp.314-323)
-
50
-
일본 최초의 인도철학사 강의록에 대한 일고찰
-
이태승;
;
(인도철학,
v.0,
2016,
pp.103-1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