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69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지위・서열・책무의 표상― 조선 왕실 연향에서의 병풍의 기능과 의의
-
김수진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1,
pp.129-166)
-
42
-
송영 희곡에 나타난 ‘조선적 표상’ 연구 - 「김삿갓」과 「신사임당」을 중심으로 -
-
박숙자;
인하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8,
pp.311-336)
-
43
-
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侍童像의 類型과 表象 - 煎茶像을 중심으로
-
송희경;
;
(미술사학보 = Reviews on the history,
v.28,
2007,
pp.5-34)
-
44
-
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에 비친 조선의 표상 -『大役小志』를 중심으로-
-
이규수;
경원대학교;
(대구사학,
v.99,
2010,
pp.1-30)
-
45
-
문명과 제국 사이 : 병자호란 전후시기 주화·척화논쟁을 통해 본 조선 지식관료층의‘國’표상
-
손애리;
;
(동양정치사상사,
v.10,
2011,
pp.45-67, 147)
-
46
-
The Comfort Group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Period of Wartime and Masculinity
-
Lee, Jin-A;
;
(韓國民族文化,
v.81,
2022,
pp.165-192)
-
47
-
A Study on Urban Symbols Through Train Tours and the Commemorative Stamps for Train Stations of the Chosen
-
Kim, Kyoung-lee;
;
(도시연구: 역사.사회.문화 =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,
v.21,
2019,
pp.7-36)
-
48
-
A Study on the ‘Joseon’ Representation in the 『Jinruikan(人類館); Humanity Hall』 of Chinen-seishin
-
Kim, Myung-ju;
;
(比較日本學 = Comparative Japanese studies,
v.48,
2020,
pp.159-180)
-
49
-
식민지 조선의 ‘일본어문학’(1920∼30년대)과 재조일본인 여성 표상 연구 - 조선 간행 일본어잡지 『조선급만주(朝鮮及滿洲)』와『조선공론(朝鮮公論)』을 중심으로 -
-
송혜경;
동국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15,
pp.139-162)
-
50.
- 근대 사진아카이브를 통해 본 조선민속표상과 전통담론
- 허경민
-
안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1 p., 20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