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조선후기 한글 · 출판 성행의 매체사적 의미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08,
pp.145-164)
-
42
-
영국도서관(British Library) 소장 경판한글소설 재론 -배접지를 통해 추론한 방각본의 간행 상황을 중심으로-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2,
pp.145-167)
-
43
-
기생 잔치판의 노래; ⟨艶謠⟩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국문학연구,
v.0,
2005,
pp.207-232)
-
44
-
주제 파악의 방법과 『구운몽』의 주제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3,
pp.315-337)
-
45
-
조선시대 한문과 한글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一考 - 心身寓言의 비교를 통하여 -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9,
pp.3-20)
-
46
-
조선시대 대중국 역사변무의 의미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6,
pp.250-276)
-
47
-
[옥원재합기연]:탈가문소설적 시각 또는 시점의 맹아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99,
pp.81-98)
-
48
-
『혜빈궁일기』와 궁궐 여성 처소의 일상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17,
pp.91-112)
-
49
-
조선시대 차별과 적대의 이해를 위한 시론 ─『구운몽』을 중심으로─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50,
2017,
pp.51-72)
-
50
-
조선후기 동아시아 어문교류의 한 단면-동경대 소장 한글번역본『옥교리』를 중심으로-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1,
pp.55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