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5/10 페이지
-
41
-
고전 대하소설에 나타난 영웅적 여성인물 연구-⟨화산선계록⟩을 중심으로-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6,
pp.197-238)
-
42
-
⟨명주보월빙⟩의 여성수난담과 서술자의식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8,
pp.309-342)
-
43
-
⟨명주보월빙⟩의 여성 반동인물 연구
-
장시광;
서울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2,
pp.4-126)
-
44
-
고전 대하소설의 남녀 결연 관련 모티프 연구 — 늑혼 모티프를 중심으로 —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23,
2016,
pp.173-211)
-
45
-
대하소설 갈등담의 구조 시론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06,
pp.187-212)
-
46
-
고전 대하소설의 강간 모티프 연구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5,
pp.353-390)
-
47
-
빈계무신 이데올로기의 전승 과정과 대하소설에의 수용 양상 연구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06,
pp.113-184)
-
48
-
⟨하진양문록⟩에 나타난 여성영웅의 정서와 이중적 정체성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16,
pp.81-115)
-
49
-
⟨현몽쌍룡기⟩ 연작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09,
pp.365-410)
-
50
-
⟨쌍천기봉⟩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0,
pp.187-2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