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고속도로 인터체인지(IC) 설치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-고흥군을 중심으로-
-
임영길;
호남대학교;
(지역개발연구,
v.40,
2008,
pp.37-47)
-
42
-
心田 朴思浩의 『燕薊紀程』에 대한 일고찰
-
임영길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學報,
v.21,
2009,
pp.73-99)
-
43
-
19세기 조선 문인과 淸朝 '江亭展禊' 문인의 교유에 관한 소고
-
임영길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學報,
v.29,
2013,
pp.323-352)
-
44
-
『擇里志』의 서북지역 기록과 그 특징
-
임영길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20,
pp.269-303)
-
45
-
淸 문인 黃爵滋와 朝鮮 문인의 교유 - 『仙屛書屋初集年記』를 중심으로 -
-
임영길;
성균관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6,
pp.333-369)
-
46
-
18~19세기 조선 문인들의 北京 인식과 기록 양상-탐방 공간의 확장과 관련하여-
-
임영길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동양한문학연구,
v.54,
2019,
pp.157-195)
-
47
-
玉壺 李肇源의 ⟨燕薊風煙⟩과 한중 문인 교유
-
임영길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54,
2019,
pp.217-250)
-
48
-
조선후기 연행록에서 북경 ‘西山’의 의미
-
임영길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57,
2018,
pp.205-240)
-
49
-
紫霞 申緯와 청 문단의 교유 양상― 1812년 연행 이후를 중심으로
-
임영길;
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1,
pp.121-148)
-
50
-
『燕行記略』의 작자 고증과 자료적 가치
-
임영길;
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;
(漢文學報,
v.50,
2024,
pp.227-2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