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25건 중 325건 출력
, 5/33 페이지
-
41
-
라이샤워(Edwin O. Reischauer), 동아시아, ‘권력/ 지식’의 테크놀로지 - 전후 미국의 지역연구와 한국학의 배치
-
장세진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6,
2012,
pp.87-140)
-
42.
- 신경정신약물과 일본근대문학 : 1910년~1950년대 신경정신약물이 등장하는 작품을 중심으로
- 김지연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4 p., 2015
-
43
-
Study on Hanhongyeop(韓紅葉) and the Process in How Japanese People Recognize Korean Culture
-
Cha , Soon-Chul;
;
(韓國古代史探究=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,
v.11,
2012,
pp.35-60)
-
44
-
日本の古代文学における「新羅」と「高麗」 ─その用例の文化史的考察─
-
하카마다 미츠야스;
静岡大学;
(日本學硏究,
v.51,
2017,
pp.81-106)
-
45
-
일본 고대문화 형성기의 도비인식(都鄙認識) 고찰
-
이권희;
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;
(日本思想,
v.0,
2019,
pp.165-187)
-
46.
- Наскальные изоБраж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й и восточной азии : культурно-историческое развитие и вопросы интерпретации
- 장석호
-
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наук Институт истории материальной культуры, 국외박사,
409 p., 1999
-
47
-
언어와 역사
-
도수희;
충남대;
(인문언어 = Lingua humanitatis,
v.3,
2002,
pp.75-92)
-
48
-
遊女評判記の文化史的活用 -日本公娼制研究動向と関連して-
-
김진영;
한국관광대학교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21,
pp.163-182)
-
49
-
2019년 백제 한성기 문헌사 연구 성과와 전망
-
백길남;
한성백제박물관;
(백제학보,
v.0,
2020,
pp.105-127)
-
50
-
1950년대 ‘문학전집’의 문화사 - 문교부의 ‘우량도서’ 제도와 한글세대의 등장을 중심으로
-
박숙자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35,
2012,
pp.83-1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