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5건 중 105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.
- 주돈이 이학(周敦颐理學)사상이 아동 심미교육에 미친 영향 연구
- 송미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x, 123 p., 2022
-
42
-
A Comparative Study of Indian Vedanta’s Brahman-Atman-view and ZhuXi’s Li-view
-
Sun Jing;
;
(儒敎 思想 硏究,
v.45,
2011,
pp.51-68)
-
43
-
理氣哲學의 세계관이 현대인의 철학으로서 갖는 特長(I) - 인간학과 자연학의 통합체계 -
-
김기현;
전남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1,
pp.43-73)
-
44
-
선심의 선과 중절의 선 - 사단칠정 해석 분기(分岐)의 제1원인 -
-
김기현;
전남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37,
2018,
pp.37-66)
-
45
-
程伊川의 理學的 『春秋』 이해에 관한 연구
-
김동민;
성균관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5,
pp.67-95)
-
46
-
역의학(易醫學)에서 본 명문학설(命門學說)과 생명가치의 경계- 명문, 수화(水火) 및 중화(中和)의 방식 -
-
김연재;
공주대학교;
(유학연구,
v.42,
2018,
pp.319-352)
-
47.
- 왕양명(王陽明) 교육철학의 형성에 관한 연구
- 가오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x, 119 p., 2021
-
48
-
정문(程門)의 미발(未發) 논변과 공부론의 두 노선
-
김기현;
전남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0,
pp.229-261)
-
49
-
양명심학과 명대 정치문화: 각민행도(覺民行道)를 중심으로
-
선병삼;
성균관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8,
pp.285-308)
-
50
-
18세기 일본사상사에서 보는 ‘반소라이학’의 문제 -‘우노가’의 ‘반소라이학’을 중심으로-
-
이기원;
강원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23,
pp.215-2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