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41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朝鮮朝 戶口帳籍의 年代 釐正 目錄 (Ⅰ : 大丘帳籍分)
-
韓榮國;
;
(歷史 學報,
v.55,
1972,
pp.73-85)
-
42
-
明版本 「二程全書」의 17세기 조선 및 일본에서의 수용 양상 연구
-
이유리;
문화재청;
(서지학연구,
v.0,
2019,
pp.381-401)
-
43
-
이정(二程) 형제 불교 비판의 사상적 맥락 고찰 - 유·불일체론과 도통론을 중심으로 -
-
이현선;
서울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9,
pp.159-186)
-
44
-
장재(張載)와 이정(二程)의 학술동이: 「洛陽議論」의 ‘窮理盡性以至於命’을 중심으로
-
황태현;
北京大學;
(우계학보,
v.0,
2022,
pp.245-272)
-
45
-
공시당상(貢市堂上)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의 비변사와 이정(釐正) 행정
-
노혜경;
호서대학교;
(역사와 실학,
v.0,
2020,
pp.141-171)
-
46
-
조선후기 문묘사전의 이정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86,
pp.133-160)
-
47
-
『영남접왜식례개이정등록(嶺南接倭式例改釐正謄錄)』
-
심, 민정;
;
(韓日關係史硏究= (The)Korea-Japan historical review,
v.60,
2018,
pp.255-270)
-
48
-
경주 옥산구곡(玉山九曲)의 위치비정과 경관해석 연구 - 이정엄의 「옥산구곡가」를 중심으로 -
-
펑홍쉬;
강태호;
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36,
2018,
pp.26-36)
-
49
-
⟨이정난전⟩의 영웅소설적 성격 연구
-
박인희;
안양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11,
pp.375-398)
-
50
-
이정(李楨) 『구암집(龜巖集)』 수록 작품의 작자에 대한 재검토
-
오보라;
고려대학교;
(漢文學報,
v.29,
2013,
pp.41-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