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2건 중 182건 출력
, 5/19 페이지
-
41.
- 근대 통영지역 나전칠기 산업 연구
- 하훈
-
동의대학교, 국내박사,
ix, 253 p., 2018
-
42.
- 德壽宮原案을 통한 1910년대 덕수궁 중심공간의 변화 고찰
- 서영옥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?, 229p., 2023
-
43
-
朝鮮 中期 ‘格物物格’ 論辨과 霞谷의 『大學』 二王融會的 ‘實學’
-
이경룡;
;
(양명학,
v.0,
2008,
pp.189-228)
-
44
-
李王職의 七宮 관리와 운영
-
이왕무;
경기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25,
pp.112-137)
-
45.
- 20세기 전반기 조선왕실의 변화와 창덕궁 건축활동의 성격
- 장필구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ⅻ, 285 p., 2014
-
46
-
순종 사망과 장례과정 -1926년 4월부터 6·10만세운동까지-
-
최은진;
국사편찬위원회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4,
pp.179-214)
-
47
-
일제에 의한 조선 궁중음악 전통의 전유 과정에 대한 연구-비밀문서 <雅樂隊에 관한 건>(1921)을 중심으로
-
권도희;
호서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23,
pp.5-61)
-
48
-
李王家博物館 佛像 컬렉션의 형성과 의미
-
이승혜;
삼성미술관 Leeum;
(미술사학연구,
v.309,
2021,
pp.107-144)
-
49
-
일제강점기 『일기』를 통해 본 순종(純宗)의 일상생활과 그 의미
-
윤종선;
고려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67,
2024,
pp.255-285)
-
50
-
위관 이용기의 저술 활동과 조선적인 것의 추구
-
신경숙;
한성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0,
pp.62-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