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이상 문학에 있어서의 ‘13’에 대한 세 가지 해석
-
김명주;
경상국립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107,
2024,
pp.215-230)
-
42.
- 『烏瞰圖』연작 연구 : 화자를 중심으로
- 김복희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4 p., 2013
-
43.
- 이상 문학의 '새-변신' 모티프 연구
- 조대한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4 p., 2017
-
44.
- 李箱의 연작시 <烏瞰圖> 연구 : 元曉의 세계관을 원용하여
- 박영호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p. 219, 2016
-
45.
- 이상 시 연구 : 문학 교과서 중심으로
- 이수정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21장, 2010
-
46
-
조이스의 신화기법으로 본 이상의 「烏瞰圖」: 삼족오 신화
-
심상욱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16,
2006,
pp.81-102)
-
47.
- 1930-40년대 시의 내면지향성 연구 : 김영랑, 이상, 윤동주의 시어를 중심으로
- 문정현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7 p., 2009
-
48.
- 이상 시의 탈주적 상상력 연구
- 이명옥
-
경희사이버대학교, 국내석사,
v, 154 p., 2017
-
49
-
여름의 시인 이상 - 1936년 ‘역단(易斷)’ 연작과 ‘위독(危篤)’ 연작의 창작 배경과 관련성을 중심으로
-
김종훈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9,
pp.95-116)
-
50
-
식민지 근대의 초상 —조이스와 박태원, 이상의 비교연구
-
오길영;
충남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20,
2013,
pp.27-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