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32건 중 232건 출력
, 5/24 페이지
-
41
-
미래 육군의 초연결 신개념 무기체계
-
이경록;
정민섭;
박상혁;
대한민국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;
대한민국 육군 미래혁신연구센터;
우석대학교 군사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6,
2020,
pp.663-667)
-
42
-
SNR 기반 가중 KL 거리를 활용한 화자 변화 검증에 관한 연구
-
조준범;
이지은;
이경록;
남부대학교 간호학과;
전남과학대학교 생활체육과;
남부대학교 IT.디자인학과;
(융합정보논문지 =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,
v.7,
2017,
pp.159-166)
-
43
-
미백과 항산화에 미치는 백복령, 감초, 유백피 추출 혼합물의 영향
-
권은정;
박혜정;
남향;
이수경;
홍수경;
김문무;
이경록;
홍일;
이도경;
오영희;
동의대학교 화학과;
동의대학교 화학과;
동의대학교 화학과;
동의대학교 화학과;
동의대학교 화학과;
동의대학교 화학과;
(주)아미코스메틱;
(주)아미코스메틱;
(주)아미코스메틱;
동의대학교 화학과;
(생명과학회지 = Journal of life science,
v.24,
2014,
pp.1063-1069)
-
44
-
위아절제술 환자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으로 진단한 공장-위 장중첩증 1예
-
김강;
홍건영;
최상철;
조준호;
이경록;
박상욱;
서강석;
임연근;
광주기독병원 내과;
광주기독병원 내과;
광주기독병원 내과;
광주기독병원 내과;
광주기독병원 내과;
광주기독병원 내과;
광주기독병원 내과;
광주기독병원 내과;
(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,
v.37,
2008,
pp.25-29)
-
45
-
조선전기 『의방유취』의 성취와 한계 - ‘상한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
-
이경록;
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4,
2012,
pp.461-493)
-
46
-
조선초기 『鄕藥濟生集成方』의 간행과 향약의 발전
-
이경록;
한독의약박물관;
(동방학지,
v.0,
2010,
pp.327-371)
-
47
-
고려와 조선 전기의 위령선 활용 - 동아시아 본초학의 한 사례
-
이경록;
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2,
pp.189-222)
-
48
-
『향약제생집성방』에 수용된 『성제총록』과 ‘금원사대가’의 의미 -고려시대 의학이론의 전개 과정-
-
이경록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3,
pp.103-136)
-
49
-
약명 유형에 나타난 고려시대 약물들의 구조 — 『 향약구급방』「방중향약목초부」를 중심으로 —
-
이경록;
연세대학교 의사학과,의학사연구소;
(사림,
v.0,
2024,
pp.121-160)
-
50
-
500단어급 핵심어 검출기에서 화자적응 성능 평가
-
서현철;
이경록;
김진영;
최승호;
전남대;
전남대;
전남대;
동신대;
(말소리,
v.43,
2002,
pp.151-1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