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작문교육에서 문장 쓰기 지도의 방향
-
유혜령;
연세대학교;
(문법 교육,
v.14,
2011,
pp.241-280)
-
42
-
학교 문법에서의 '이다' 처리 재고
-
유혜령;
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02,
pp.131-158)
-
43
-
‘텍스트와 장르를 고려한 문장 쓰기’ 지도가 쓰기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
-
유혜령;
서울여자대학교 글로벌 의사소통센터;
(국제어문,
v.0,
2013,
pp.243-282)
-
44
-
국어의 형태․통사적 공손 표지에 대한 연구
-
유혜령;
연세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10,
pp.377-409)
-
45
-
국어지식 교육 내용 구성의 - 연결어미 체계를 중심으로 -
-
유혜령;
세종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05,
pp.213-235)
-
46
-
Beyond the logic of representation in play theories: postmodern perspectives on children’s role play
-
유혜령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교육인류학연구,
v.12,
2009,
pp.1-25)
-
47
-
현상학적 글쓰기: ‘형언할 수 없는 그 무엇’이 살아나는 공간 만들기
-
유혜령;
전 영남대학교;
(교육인류학연구,
v.17,
2014,
pp.1-34)
-
48
-
유아교육의 본질을 향한 서로 다른 목소리: 다학문적 접근의 갈등과 희망을 함께 하며
-
유혜령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유아교육연구,
v.30,
2010,
pp.297-321)
-
49
-
유아를 위한 상상력 교육의 접근: 후기구조주의적 관점
-
유혜령;
영남대학교;
(유아교육학논집,
v.21,
2017,
pp.5-34)
-
50
-
하이데거의 기술철학에서 본 질적 연구의 기법화 경향
-
유혜령;
숙명여자대학교;
(현대유럽철학연구,
v.0,
2017,
pp.155-1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