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.
- 鷄龍山 사찰 입지의 풍수 비교 연구 : 甲寺·東鶴寺·新元寺를 중심으로
- 이재숙
-
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4
-
42
-
다선일미에 대한 선(禪)적 의미 고찰
-
정영희;
서왕모;
동국대학교;
동국대학교;
(차문화산업학,
v.50,
2020,
pp.111-138)
-
43.
- 壬辰倭亂期 三國 關係定立 摸索 : 壬辰倭亂期 朝鮮의 位置를 중심으로
- 조인희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9 p., 2015
-
44.
- 『장자(莊子)』 : 혼돈(渾沌)으로의 전환과 독유(獨遊)의世界
- 김상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82 p., 2008
-
45
-
『전경』에 기록된 사명당(四明堂)의 풍수 물형(物形) 연구
-
신영대;
제주관광대학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41,
2022,
pp.133-178)
-
46
-
『전경』에 기록된 사명당(四明堂)의 풍수 물형(物形) 연구
-
신영대;
제주관광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41,
2022,
pp.133-178)
-
47
-
이광수의 『무정』에 나타난 기독교적 지도자상 고찰
-
정하늬;
홍익대학교;
(인간연구,
v.0,
2024,
pp.349-388)
-
48.
- 金裕貞 小說의 카니발적 構造 硏究
- 김미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61p., 1990
-
49.
- 지장신앙의 淵源과 전개
- 김은경
-
능인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, 2021
-
50
-
月沙 李廷龜의 世子冊封 奏請正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
-
강순애;
한성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6,
pp.79-1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