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5/74 페이지
-
41
-
조선 초기 유교적 국상의례의 거행양상과 그 특징
-
석창진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5,
pp.151-183)
-
42
-
의례문화의 변화와 공동체성: 유교적 관점에서
-
이일래;
부산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20,
pp.29-60)
-
43
-
조선시대 사족(士族) 일상생활의 유교적 의례화 양상
-
박종천;
고려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39,
2021,
pp.175-214)
-
44
-
유교의례와 무속의례의 친연성-禮의 측면에서 본 기제사와 굿을 중심으로-
-
김덕묵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62,
2015,
pp.247-271)
-
45
-
상‧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
-
박종천;
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10,
pp.363-397)
-
46
-
유교 의례화의 정치학: 만동묘와 대보단을 중심으로
-
임부연;
서울대학교;
(종교문화비평,
v.15,
2009,
pp.159-182)
-
47
-
『규원사화』에 보이는 天祭의 형식 ― 유교 제천의례와의 비교를 통해서 ―
-
임채우;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;
(동양철학,
v.0,
2010,
pp.681-711)
-
48
-
조선시대 유교적 국가제사 의례와 음악 -하늘, 땅, 인간과 음악-
-
송지원;
서울대학교;
(공연문화연구,
v.0,
2013,
pp.253-284)
-
49
-
조선시대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― 조상제례를 중심으로
-
김미영;
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09,
pp.219-248)
-
50
-
일상의 성화(聖化)를 위한 유교적 의례화 –율곡 이이의 예학적 구상-
-
박종천;
고려대학교;
(유학연구,
v.31,
2014,
pp.25-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