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
-
『현종실록』의 편찬과 개수(改修)- 시정기찬수범례(時政記纂修凡例)를 통한 비교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4,
pp.179-228)
-
42
-
春秋大義와 禮訟의 기억 - 宋時烈과 魏伯珪 -
-
오항녕;
;
(태동고전연구,
v.27,
2011,
pp.131-160)
-
43
-
기억의 시냅스; 孝宗과 宋時烈, 그리고 正祖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8,
pp.31-73)
-
44
-
조선 세 重臣의 瀋陽 구류와 교유― 金尙憲・崔鳴吉・李敬輿의 경험
-
오항녕;
최옥형;
전주대학교;
연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9,
pp.255-290)
-
45
-
광해군, 두 개의 상반된 평가
-
계승범;
서강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5,
pp.493-525)
-
46
-
조선 숙종대 실록(일기)의 수정 시도와 누설-기억투쟁과 좌절, 그리고 원칙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18,
pp.287-317)
-
47
-
朝鮮初期 實錄編纂體裁의 변화에 관한 史學史的 考察
-
오항녕;
정부기록보존소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00,
pp.43-67)
-
48
-
한국기록관리와 ‘거버넌스’에 대한 역사적 접근
-
오항녕;
전주대;
(기록학연구,
v.0,
2005,
pp.15-40)
-
49
-
실록(實錄) : 등록(謄錄)의 위계(位階)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기록학연구,
v.0,
2001,
pp.91-113)
-
50
-
조선 광해군대 궁궐공사에 대한 이해와 서술 - 사실, 연구, 교육의 거리와 괴리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9,
pp.63-1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