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
-
조선시대의 시간 : 구획과 층위
-
오항녕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4,
pp.3-25)
-
42
-
문치주의와 대칭적 경세론에서 본 <<經筵日記>>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28,
2014,
pp.147-178)
-
43
-
조선 세 重臣의 瀋陽 구류와 교유― 金尙憲・崔鳴吉・李敬輿의 경험
-
오항녕;
최옥형;
전주대학교;
연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9,
pp.255-290)
-
44
-
광해군, 두 개의 상반된 평가
-
계승범;
서강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5,
pp.493-525)
-
45
-
조선 기록문화의 저력에 대한 기록: 오항녕 저, 『후대가 판단케 하라 : 조선실록의 수정과 개수』, 역사비평사, 2019
-
정재훈;
경북대학교;
(기록학연구,
v.0,
2020,
pp.461-464)
-
46
-
조선시대 추안(推案)에서 만난 주체의 문제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중국어문논역총간,
v.0,
2014,
pp.63-88)
-
47
-
기록학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38,
2003,
pp.23-46)
-
48
-
⟨史通⟩의 구조와 역사비평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29,
2012,
pp.153-189)
-
49
-
存齋 魏伯珪의 格物說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28,
2012,
pp.1-32)
-
50
-
尤菴 宋時烈 문집의 편찬과 간행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08,
pp.281-3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