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고려의 중국 農書‧曆書‧擇日書 도입과 「吉凶逐月橫看 木板」의 성격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4,
pp.75-109)
-
42
-
1880년대 고종의 권농책과 서양농법 도입 논의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14,
pp.35-70)
-
43
-
18세기 후반 正祖代 農政策의 전개
-
염정섭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3,
pp.217-250)
-
44
-
조선 초기의 水利 정책과 김제 벽골제
-
염정섭;
서울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6,
2007,
pp.79-105)
-
45
-
『山家要錄』農書 부문의 편찬과정과 서술방식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11,
pp.69-108)
-
46
-
중·근세의 농법과수리시설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중앙고고연구,
v.0,
2012,
pp.99-151)
-
47
-
18세기 후반 정조대 농정책의 시행과 의의
-
염정섭;
서울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5,
2006,
pp.49-79)
-
48
-
조선 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-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 -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16,
pp.49-103)
-
49
-
임원경제지(林園經濟志)의 구성과 내용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8,
2009,
pp.1-42)
-
50
-
17세기 초반 「위빈명농기(渭濱明農記)」, 「전사문(田事門)」의 편찬 경위와 농법의 특색
-
염정섭;
서울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3,
2004,
pp.79-10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