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비대면 시기 대학 글쓰기 교육 방향과 수업의 실제 -자기 치유 쓰기 과정에 기반한 S대학 글쓰기 사례 중심으로-
-
박혜순;
고려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58,
2022,
pp.193-240)
-
42
-
오에 겐자부로의 한반도와 한국전쟁에 대한 시선 ‒초기 작품과 에세이를 중심으로‒
-
소명선;
제주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25,
pp.127-146)
-
43
-
자연계열 대학 글쓰기 수업의 창의성 활용 사례 - 충남대학교 교과 <자연과학글쓰기> 수업을 중심으로
-
김현화;
목원대학교;
(어문연구,
v.100,
2019,
pp.21-57)
-
44
-
대학의 여성주의 교육과 남학생들의 저항
-
김미덕;
;
(담론201,
v.17,
2014,
pp.141-175)
-
45.
- 편견 개선을 위한 청소년기 독서 프로그램 연구
- 이석균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69 p., 2020
-
46.
- 아동기 성폭력 피해경험과 치유과정에 대한 문학상담적 고찰 : 두 편의 '성폭력 생존자 치유에세이' 작품분석을 중심으로
- 박수빈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v, 125 p., 2015
-
47.
- 三島由紀夫 작품에서의 여주인공의 性格 硏究
- 최성윤
-
中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3 장, 2004
-
48.
- C. S. 루이스의 자신을 벗어나는 경험으로서의 판타지
- 이주은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77, 2024
-
49.
- (The) Impa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oncern over mistakes on English speaking frequency and proficienc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
- Abderrahim Ezzarrouki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218 p., 2020
-
50.
- 탈북 작가의 장편 소설 연구
- 권세영
-
아주대학교, 국내박사,
192 p., 20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