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신경준(申景濬)의 『장자(莊子)』 독법(讀法)과 『시칙(詩則)』에 담긴 시의식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6,
pp.169-198)
-
42
-
연행록에 보이는 동물 기사의 유형과 특징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5,
pp.93-120)
-
43
-
조선시대 梅花詩의 전개와 특징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3,
pp.165-216)
-
44
-
새롭게 발굴된 어우야담(於于野譚)40화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5,
pp.426-485)
-
45
-
李器之의 ?一菴燕記?와 西學 접촉 양상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05,
pp.163-191)
-
46
-
야담 문학의 활용과 TV 드라마 영화의 창조적 상상력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6,
pp.337-354)
-
47
-
조선 후기 연행사의 盤山 유람과 원굉도의 「遊盤山記」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漢文敎育論集,
v.0,
2014,
pp.117-146)
-
48
-
중서(中西)교류사 탐구의 성과와 연행록 연구의 접점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학,
v.34,
2011,
pp.243-260)
-
49
-
李達이 鄭經世에게 준 餞別詩 한 수 - 「奉送冬至正使鄭相國之行」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藏書閣,
v.0,
2008,
pp.255-260)
-
50
-
Pecularities of Yadam Literature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Sources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The Review of Korean Studies,
v.12,
2009,
pp.147-161)